전체 글 (25) 썸네일형 리스트형 Ubuntu 24.04 Server 고정 IP 설정(삽질 일기) 목표는 개발용 장비들은 DHCP 영역과 별개로 구분해 고정해 두는 것이었다..(해당 내용은 다른 글에서 간략히 정리했던 내용을 좀 디테일하게 적은 글이다.) 문제는 GPT와 구글링으로 작업을 하는데... 잘 되질 않았다...우선 처음에는 라즈베리파이 3B+가 arm 기반이어서 우분투 작업 설정이 좀 다른건가 싶었다..그러던 중 추가한 일반 우분투 PC에서도 설정들이 다 적용이 되질 않았다..그렇다고 GUI Ubuntu를 깔거나 네트워크 관련해서 별도로 install을 하고 싶지는 않았다.순정으로 netplan을 이용해서 해결을 하고 싶었다. sudo vi /etc/netplan/50-cloud-init.yaml network: version: 2 ethernets: renderer.. Spring Data JPA - List 타입과 Auditing 그리고 연관 관계 1. @Convert(converter = JpaListConverter.class) : Collactions Type 변환지금껏 Entity 작업을 하면서 굉장히 귀찮게 느껴진 부분이 있었다.항상 List 과 같은 타입을 어떻게 처리할지 애매하게 느껴졌었다. 그래서 따로 정말 필요한 경우는 List 대신 별도의 Entity를 생성해서 연관관계를 설정해주었다.하지만 완전 특정 Entity 하위에 종속되는 List의 경우, 굳이 별도 Entity를 만들고 복잡한 작업을 하기에는 여러모로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런 경우는 보통 @ElementCollection을 통해 작업을 해줬었는데.. 막상 DB 구조를 생각하며 사용하다보니 의문이 들었다.어차피 몇 글자 안되는 경우, Seperator를 포함한 Strin.. 라즈베리파이 3B+ 에 Nginx와 HTTPS(SSL/TLS) 구성하기를 가장한 삽질 일기. 우선 똑같은 실수를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 기록을 남긴다.참 습관이란 게 고마울 때도 많지만 가끔 실수를 했는지 조차 모르게 만드는 것 같다... 1. 서론우선 내 목표는 포트폴리오용 API 서버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였고,Nginx로 로드밸런서 및 Reverse Proxy를 구성해서 Backend 서버들을 묶어줄 생각이었다. Nginx를 선택한 것은 원래 Apache Mod_Proxy를 걷어내고선 똑같은 실수를 다시 반복하지 않기 위해 기록을 남긴다.참 습관이란 게 고마울 때도 많지만 가끔 실수를 했는지 조차 모르게 만드는 것 같다... 우선 내 목표는 포트폴리오용 API 서버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였고,Nginx로 로드밸런서 및 Reverse Proxy를 구성해서 Backend 서버들을 묶어줄 생각이.. 윈도우11(Windows 11) - 작업표시줄 캘린더에 시계는 어디로? 아 급한 경우, 켜서 사용하던 윈도우 시계가 윈도우11로 오고 나서 막상 쓰려니 사라졌다.처음에는 달력도 안보여서 뭐지 했는데, 그래도 이건 접혀 있던거라 금방 찾았다. 진짜 열받는 게, 지들이 뭔데 이렇게 자주 쓰는 기능을 안쓴다고 판단을 한걸까?아예 끄고 켜는 옵션 조차 없다고 하는데.. 1~2분 검색해서 켜면 되겄지 생각했는데... 10분 넘게 소요... 급해서 켠건데...ㅠ뭐 엿장수 마음이겠지만 막상 급할 때 쓰던 게 없으니 불편했다. 정말 맘에 안들지만 그냥 아래처럼 작업표시줄에 초시계를 띄우기로 했다. 여기서 또 어이가 없던 게 MS에서 해당 초시계 쓰라고 답변 주길래,맘에 안들지만 그래도 어떻게 하는지 설정이라도 해보자는 생각해 가이드를 따라했는데.... 그들이 말한 설정이 없다? 저 빨.. Spring Security - csrf는 무엇이며, 왜 disable하는 경우가 많은가? 글을 쓰기에 앞서 왜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하는가?1년간 데이터분석에 파이썬만 만졌더니 자바 웹기술에 대한 내용들이 뭔가 뿌옇게 흐려진 느낌이다.그래서 내가 어디까지 모르는지 잊어버린 것은 없는지 확신을 얻기 위해 순차적으로 정리해보기로 했다. 1. CSRF란?우선 csrf 라는 용어의 정의부터 잊지 않았는지 짚고 가자면..희끄무리하지만 내 기억상 웹사이트에서 위조요청을 날리는 일종의 보안 위협요소이다.xss(cross site script)의 경우, 스크립트를 이용한 경우라면,csrf(cross site request forgery)는 요청 자체를 위조해서 권한을 취득하는 등의 행위를 이용하는 것이다.해당 방식은 공격자가 인가자(권한이 있는 자)를 이용해 특정 요청을 하게 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되.. 이전 1 2 3 4 5 다음